글쓰기 기초

갈등이란 무엇인가? 갈등 없는 이야기는 왜 재미가 없을까?

상상력발전소 2025. 7. 25. 18:20

갈등이란 무엇인가? 갈등 없는 이야기는 왜 재미가 없을까?

"왜 영화나 드라마 속 주인공은 늘 힘든 일을 겪어야 할까요?",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행복하기만 한 이야기는 왜 없을까요?", "도대체 '갈등'이 뭐길래 모든 작가들이 그렇게 중요하다고 말하는 걸까요?" 혹시 이런 궁금증을 가져본 적 없으신가요? 많은 사람이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즐기면서도, 정작 그 재미의 핵심에 있는 '갈등'에 대해서는 막연하게만 알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야기의 심장과도 같은 갈등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갈등이 빠진 이야기는 왜 앙금 없는 찐빵처럼 심심할 수밖에 없는지를 아주 쉬운 예시와 비유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갈등이란 무엇인가? 갈등 없는 이야기는 왜 재미가 없을까?

갈등, 이야기의 심장을 뛰게 하는 힘

이야기에서 갈등은 단순히 누군가와 싸우거나 미워하는 감정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갈등은 이야기의 모든 순간에 긴장감과 기대를 불어넣어 독자나 관객이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드는 핵심 장치입니다.

1. 갈등은 '문제 상황' 그 자체입니다

갈등을 '싸움'이라고만 생각하면 그 의미를 절반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갈등의 진짜 의미는 '주인공이 원하는 것(욕망)'과 '그것을 가로막는 것(장애물)' 사이의 충돌입니다. 예를 들어, 몹시 배고픈 사람이 빵을 먹고 싶어 하는데(욕망), 주머니에 돈이 한 푼도 없다면(장애물) 이것이 바로 갈등입니다. 이렇게 갈등은 주인공이 해결해야 할 '문제 상황' 그 자체를 의미하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가 바로 이야기의 내용이 됩니다.

2. 모든 이야기의 동력, 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

갈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주인공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내적 갈등'입니다. 점심 메뉴로 짜장면을 먹을지 짬뽕을 먹을지 고민하는 사소한 순간부터, 정의와 개인의 이익 사이에서 고뇌하는 심각한 상황까지 모두 내적 갈등에 해당합니다. 둘째는 주인공 외부의 요인과 부딪히는 '외적 갈등'입니다. 라이벌과의 경쟁, 불합리한 사회 제도에 대한 저항, 혹은 거대한 자연재해에 맞서는 것 등이 외적 갈등의 좋은 예시입니다.

3. 갈등이 만들어 내는 '다음 페이지를 넘기게 하는 힘'

갈등은 독자에게 "과연 주인공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강력한 질문을 던집니다. 이 궁금증이야말로 우리가 책의 다음 페이지를 넘기고, 드라마의 다음 회를 기다리게 만드는 원동력입니다. 마치 줄타기를 하는 곡예사를 볼 때, 우리는 그가 무사히 반대편까지 건너갈 수 있을지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보게 됩니다. 이 아슬아슬한 긴장감, 이것이 바로 갈등이 주는 가장 큰 재미이며 이야기의 몰입도를 수직으로 상승시키는 비결입니다.

갈등 없는 이야기가 밍밍한 이유

만약 모든 것이 평화롭고 아무런 문제도 없는 이야기가 있다면 어떨까요? 아마 5분도 채 보지 못하고 지루함에 몸서리치게 될 것입니다. 갈등이 없는 이야기는 재미있을 수 없는 몇 가지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1. 아무런 사건도 없는 평면적인 세상

갈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겠습니다. 주인공이 1억 원을 갖고 싶다고 생각하자마자 하늘에서 1억 원이 뚝 떨어집니다. 멋진 애인을 만나고 싶다고 바라자마자 완벽한 이상형이 나타나 사랑을 고백합니다. 이런 이야기에는 어떤 긴장감이나 기대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이 즉시 해결되기에 독자는 주인공의 상황에 감정을 이입할 필요도, 그의 다음 행동을 궁금해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는 마치 아무런 굴곡 없이 일직선으로만 그려진 심전도 그래프처럼 생명력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2. 주인공이 성장할 기회가 없다

사람은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이 아니라,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시련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장합니다. 이야기 속 주인공도 마찬가지입니다. 근육을 키우려면 무거운 기구를 들어야 하듯, 주인공 역시 갈등이라는 무게를 견뎌내야만 정신적으로, 능력적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 <해리 포터>에서 해리가 아무런 위협 없이 마법 학교를 다녔다면, 그는 그저 평범한 마법사 학생으로 남았을 것입니다. 볼드모트라는 강력한 적과의 갈등이 있었기에 그는 위대한 마법사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3. 독자의 감정을 움직이지 못한다

우리는 주인공이 겪는 어려움에 함께 안타까워하고, 그가 장애물을 뛰어넘었을 때 함께 기뻐하며 희열을 느낍니다. 이처럼 갈등은 독자의 감정을 깊숙이 끌어당기는 자석과 같습니다. 오랫동안 가난과 무명에 시달리던 복서가 마침내 챔피언이 되는 영화 <록키>를 보며 눈물 흘리는 이유는, 그가 겪었던 처절한 갈등의 과정을 우리가 함께 지켜봤기 때문입니다. 아무런 노력 없이 챔피언이 되었다면 그 누구도 감동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갈등은 승리와 성공의 가치를 몇 배나 더 값지게 만들어 줍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갈등은 이야기를 망치는 불청객이 아니라, 이야기를 살아 숨 쉬게 만드는 필수적인 산소와 같습니다. 갈등은 주인공에게 해결해야 할 목표를 제시하고, 그 과정을 통해 주인공을 성장시키며, 독자에게는 잊을 수 없는 긴장감과 감동을 선사합니다. 어쩌면 우리의 삶 역시 수많은 크고 작은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한 편의 이야기와 같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시련을 이겨내는 이야기 속 주인공에게서 깊은 위로와 용기를 얻는 것이 아닐까요? 이제 어떤 이야기를 접하든, 그 속에서 주인공을 괴롭히는 '갈등'의 진짜 가치를 발견해 보시길 바랍니다.